외상 수술후 철심제거 필요한 경우와 보험적용 여부
외과 수술 후 삽입한 철심(금속판, 나사, 핀 등)을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데요. 물론 의사들의 소견을 들어보는게 정확합니다. 제 주변 지인분들중에도 철심을 박았다가 제거수술을 받은 분들이 있는데요. 제거 여부는 삽입된 위치, 환자의 상태, 합병증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 철심 제거가 필요한 경우
그럼 철심제거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경우가 있을까요? 이건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를 종합한 제 개인적인 의견 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 통증이나 불편함이 지속될 때
- 철심이 관절 근처에 있어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한 경우
- 피부에 닿아 불편하거나 철심 주변이 붉어지고 부을 때
✅ 염증, 감염이 발생한 경우
- 철심 주변 피부가 붉고 열이 나면서 고름이 나올 때
- 철심이 몸 안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 (골수염, 연조직 감염 등)
✅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때
- 소아나 청소년의 경우, 뼈가 계속 성장하기 때문에 철심이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음
✅ 금속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때
- 일부 환자는 금속(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음
✅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 기존 철심이 뼈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거나 기능을 다했을 때
- 뼈가 완전히 붙지 않아 재수술이 필요할 때
주변 철심을 제거한 분들의 말을 들어보니까 아프고 불편하면 제거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아이들은 웬만하면 빼주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아무래도 자꾸 크니까 문제 되겠죠.
📌 철심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철심을 반드시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이물감이 없고, 문제 없이 생활할 수 있을 때
- 철심이 뼈에 잘 고정되어 있고, 불편함이 전혀 없다면 제거하지 않아도 됨
❌ 나이가 많거나, 철심 제거로 인한 위험이 더 클 때
- 고령 환자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음
❌ 티타늄 등의 생체 적합성이 높은 금속일 때
- 티타늄 등은 체내에서 부식되지 않고 반응이 적어 오래 둬도 문제 없음
물론 위에 열거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개인적인 판단에 맡기지 마시고 병원에서 최종판정을 받으세요.
💰 철심 제거 수술, 건강보험 적용 여부
철심 제거 수술이 건강보험 적용이 되는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경우
👉 철심 제거가 '치료 목적'인 경우 보험 적용 가능
- 철심 주변에 염증, 감염이 발생한 경우
- 철심이 뼈에 부담을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 소아의 뼈 성장 방해 문제로 제거가 필요한 경우
💡 본인 부담금: 약 20~50% 정도 부담 (환자의 나이 및 병원 등급에 따라 차이 있음)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비급여)
👉 '의료적 필요' 없이 본인 희망으로 철심 제거 시 비급여
- 철심이 불편하지 않지만 단순한 이물감 때문에 제거하는 경우
- 미용 목적 (예: 흉터가 보기 싫어서 철심 제거)
💰 비급여로 진행하면 비용 부담이 큼
- 개인 병원: 약 100만~200만 원
- 대학병원: 약 200만 원 이상
💡 실손보험 적용 가능 여부
- 실손보험(실비보험)이 있다면 일부 보장될 수 있으므로 보험사에 확인 필요
🚑 철심 제거 수술 후 주의사항
철심 제거 후에도 회복을 위해 다음 사항을 신경 써야 합니다.
✔ 수술 후 2~3일간은 안정 (너무 무리하면 출혈 가능)
✔ 2주간 심한 운동 금지 (철심 제거 부위가 다시 회복될 때까지)
✔ 절개 부위 소독 및 상처 관리 철저
✔ 의사 지시에 따라 진통제 및 항생제 복용
🎯 결론: 철심 제거할까, 말까?
✅ 제거해야 하는 경우:
- 통증, 염증, 감염이 있거나 뼈 성장에 문제가 될 때
- 금속 알레르기 반응이 있거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통증이 없고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경우
- 나이가 많거나 추가 수술이 부담될 때
💰 보험 적용 여부:
- 치료 목적(통증, 감염 등) → 건강보험 적용 가능
- 단순 불편감, 미용 목적 → 비급여 (보험 적용 불가, 비용 부담 큼)
지금까지 외상 수술후 철심제거 필요한 경우와 보험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드렸습니다. 최대한 주변에 관련 경험을 보유한 분들의 조언을 들어보고 최종적으로 철심 제거 여부는 의사와 충분히 상담한 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